목차 Ⅰ. 필요성 Ⅱ. 기본개념 및 특징 Ⅲ. 성장참조평가의 활용 Ⅳ. 장점 한계점 Ⅴ. 결론 ■ 참고문헌
본문 Ⅰ. 필요성
※ 고전적인 평가방법 –상대비교평가, 절대평가
● 상대비교평가 - 개인이 획득한 점수의 상대적 서열에 의해 평가하는 방법. 상대적 우열의 파악에 용이함. But ! 교수-학습이론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점.
● 절대평가 - 개인이 이룬 성취수준과 판단의 기준이 되는 준거에 의해 평가하는 방법. 준거에 비추어 달성도를 파악, Pass나 Fail의 판정이 용이.
→ 공통된 특징 : 두 평가 모두 평가대상인 개인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점수를 비교함.
※ 고전적인 평가방법의 한계점 극복을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 제안 - 성장참조평가, 능력 참조평가.
● “인간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태어났고, 서로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 → 개개인을 경쟁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개체로 인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아래 나온 방식.
● 비교의 대상이 개인과 본인 그 자체로서 개인을 존중하는 평가방법.
● 성장참조평가 : 평가라는 것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개인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보다 교육적이라는 관점에서 착안되어 제안됨.
→ 두 가지의 평가방법은 행정적 기능이 강조되는 평가 상황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나, 인간 개인의 행동 변화를 추구하는 교육의 근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는 두 평가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됨.
Ⅱ. 기본개념 및 특징
1. 기본개념 ● 교육과정을 통하여 얼마나 성장하였느냐에 관심을 두는 평가방법 ● 최종 성취수준에 대한 관심보다는 초기 능력수준에 비추어 얼마만큼 능력의 향상을 보였느냐를 강조하는 평가방법 2. 주요 특징 ● 학생들에게 학업증진의 기회부여와 개인화를 강조 ● 결과의 타당성을 위한 조건 ① 사전에 측정한 점수가 신뢰로워야 함. ② 현재 측정한 측정치가 신뢰로워야 함. → 사전에 측정한 측정치나 현재 측정한 측정치가 신뢰롭지 않다면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기가 어려움. ③ 사전 측정치와 현재의 측정치의 상관이 낮아야 함. → 사전 측정치나 현재의 측정치가 상관이 높으면 이는 성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관계에 의한 결과 ● 교육평가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과정 → 교육효과의 향상 ● 교육의 기본적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과정 → 인간 형성, 자기 발전, 향상 등 ●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을 가장 잘 충족시킨 교육과정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이 핵심.
본문내용 우열의 파악에 용이함. But ! 교수-학습이론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점. ● 절대평가 - 개인이 이룬 성취수준과 판단의 기준이 되는 준거에 의해 평가하는 방법. 준거에 비추어 달성도를 파악, Pass나 Fail의 판정이 용이. → 공통된 특징 : 두 평가 모두 평가대상인 개인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점수를 비교함. ※ 고전적인 평가방법의 한계점 극복을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 제안 - 성장참조평가, 능력 참조평가. ● “인간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태어났고, 서로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 → 개개인을 경쟁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개체로 인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아래 나온 방식. ● 비교의 대상이 개인과 본인 그 자체로서 개인을 존중하
참고문헌 김성훈 외,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학지사, 2010. 성태제, 「교육평가의 새로운 동향」 성태제, 「개인화 종합평가시스템 탐색」 의정부 청룡초등학교 시행자료 신천중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기준안 Daum 백과사전 (http://100.daum.net) Naver 지식인 (http://kin.naver.com) EBS 지식채널e 동영상 (http://home.ebs.co.kr/jisike/main.jsp?gubun=&y=&col =lecture_name&str=%C7%C9%B6%F5%B5%E5)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