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핵심역량’ 등장 배경과 의미
Ⅱ. ‘핵심역량’ : OECD DeSeCo Project 분석
Ⅲ. ‘핵심역량’ : 교육과정 반영 사례 1. 외국 사례 2. 국내 동향
Ⅳ. 결론 및 논의해 볼 점
본문 ‘무엇을’ 교육시킬 것인가? 자유교육 = 교양교육 = 인문교육
서양 교육의 전통 속에 들어있는 교육의 이상
학문 지식의 ‘인문적 성격’
21세기 사회의 삶 속에서도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인가?
직업 교육 차원
McClelland 『지능보다는 역량을 위한 검사(1973)』
Spencer와 Spencer(1993)의 심층역량과 표면역량 모델
동기 -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가장 근원적인 요인 특질 - 신체적 특성과 더불어 상황이나 정보에 대한 일관된 반응 자아개념 - 개인의 태도, 가치, 혹은 자아상 지식 - 특정 내용 영역에 있어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 기술 - 특정한 물리적 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핵심’ = ‘기초’, ‘필수’, ‘주요’ ☞역량은 곧 인간의 삶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충분필요조건 이라는 인식 하에, 삶 전반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관심이 일면서 ‘생애핵심역량’ 개념 정립
1997년 OECD에서 시행한 DeSeCo 프로젝트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생애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서의 ‘생애핵심역량’을 제시
1. 외국 사례 1) 호주 빅토리아 주 2) 뉴질랜드 3) 캐나다 퀘벡 주
2. 국내 동향 1) 우리나라 핵심 역량 2) 교육과정 총론에서 밝히는 인간상에 내재된 핵심역량 : 1~7차 교육과정, 2007개정 교육과정 및 2009 교육과정 3) 2007 교육과정 교과별 반영 사례 분석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자기관리_managing self 대인관계_relating to others 참여 및 공헌 _participating and contributing 사고하기_thinking 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 _using languages, symbols, and texts
OECD 핵심역량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이질적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도구를 상호적으로 사용하기
범교육과정적 역량
지적역량 : 정보활용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판단력, 창의력 방법론적 역량 : 효과적인 작업 방법 채택력, ICT 활용력 개인적 사회적 역량 : 정체성 형성력, 타인과의 협동력 의사소통 관련 역량 : 적절히 의사소통하는 능력
광범위한 학습 영역
건강과 참살이 개인적 직업적 계획 환경인식 및 소비자 권리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과 공동체
본문내용 분석 Ⅲ. ‘핵심역량’ : 교육과정 반영 사례 1. 외국 사례 2. 국내 동향 Ⅳ. 결론 및 논의해 볼 점
‘무엇을’ 교육시킬 것인가? 자유 교육 = 교양교육 = 인문교육 서양 교육의 전통 속에 들어있는 교육의 이상 학문 지식의 ‘인문적 성격’
21세기 사회의 삶 속에서도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인가? 자유 교육 ‘무엇을’ 교육시킬 것인가?
Ⅰ. ‘핵심역량’ 등장 배경과 의미 직업 교육 차원 McClelland 『지능보다는 역량을 위한 검사(1973)』 Spencer와 Spencer(1993)의 심층역량과 표면역량 모델
*Spencer와 Spencer(1993)의 심층역량과 표면역량 모델* 동기 -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가장 근원적인 요인 특질 - 신체적 특성과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