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할 때의 태도나 목소리 등 말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비언어적ㆍ반언어적 요소가 93%를 차지
국어 기능교육의 목표 -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 ↓ 목표의 실현 위해서는 기능 교육에서 내용선정, 조직 방법 교육 못지않게 비언어적ㆍ반언어적 표현 교육 강조되어야 함 ↓ 비언어적ㆍ반언어적 표현이 의사소통에서 갖는 영향만큼 국어 기능교육이 이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지와 이것이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
연구방법 : 교과서 분석
자체 분석기준 제시하여 교과서 분석 천재교육 – 중학교 2-1 <국어>
비언어적ㆍ반언어적 표현의 개념을 명시하였는가? → 비언어적ㆍ반언어적 표현을 지식적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지 평가
2비언어적ㆍ반언어적 의사소통과 관련한 매체를 제시하였는가? → 실제 말하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비언적ㆍ반언어적 표현 양상을 알 수 있게 하는지 평가
연구 대상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 8학년 말하기 영역
선정 이유 다양한 담화 유형 중 실제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발표ㆍ토의ㆍ대화의 담화 유형을 고루 담고 있음 공적인 말하기와 사적인 말하기를 모두 다루고 있음
천재교육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분석하여 교육과정 구현의 적절성을 판단
1. 새로 여는 우리 반 (1) 자서전쓰기 (2) 회의 시간에 의견듣기 (3) 나의 의견 말하기 - 토의
3. 마음을 나누는 언어 (1) 웃어른과 대화하기- 대화 (2) 남북한의 언어
판단 기준 : 자체 분석기준
비언어적ㆍ반언어적 표현의 개념 명시여부 2 비언어적ㆍ반언어적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제시된 매체와 그 관련성 여부
본문내용 목 0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01 교육과정 분석 02 교과서 분석 01 매체교육 접목의 필요성 02 매체교육과 의 접목 방안 1 2 3
1 도입
0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의사소통 사람들간에 생각이나 감정 등을 교환하는 총제적 행위 의사소통의 목적 말하기 상황: 화자는 어떠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말을 함 But
0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메라비언의 법칙(The Law of Merahbian) 말을 할 때의 태도나 목소리 등 말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비언어적ㆍ반언어적 요소가 93%를 차지
01 국어 기능교육의 목표 -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목표의 실현 위해서는 기능 교육에서 내용선정, 조직 방법 교육 못지않게 비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