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6일 일요일

우리나라의 논술 제도의 변화

우리나라의 논술 제도의 변화
우리나라의 논술 제도의 변화.hwp


목차
1) 과거의 논술 제도
2) 현재의 논술 제도



본문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논술 제도의 변화를 건조하게 조망하고자 한다. 여기서 논술이라 부르는 것은, 중등 교육(중, 고등학교)에서, 대학 입시를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논술 제도의 변천을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수행하게 될 연구가 이러한 논술 제도를 위한 논술 교육의 시행이 어떤 식으로 사회에 영향을 끼쳤는지 알기 위함이다. 논술 교육 역시 교육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국가적 교육의 가치관이나 시대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았을 것이 분명하며, 제도의 변천사를 훑어봄으로써 어떤 시대적 배경에 따라 교육의 외적인 면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바뀌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외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논술 고사가 내포하고 있는 비밀이 결국은 교육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의 유지 및 재생산이라는 점을 증명하고자 한다.

1) 과거의 논술 제도
해방 이후 우리의 교육 체계에는 현재 우리가 논술이라고 칭하는 제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시대상황적으로, 해방 이후는 전쟁 수습의 시기였기 때문에, 질서가 필요했고, 위계질서에 대한 순응이 가장 큰 가치로 자리 잡고 있던 때였다. 게다가 얼마 안 가서 한국 전쟁이 또 일어났기 때문에 교육은 최소한의 한도로 이루어지고 그 체계 역시 복잡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연유로, 국가의 기초 학력이 매우 떨어져있던 상황에서 그것을 끌어올리기 위해 국민 공통 교육이 강조되던 시기였기에 효율적인 교육이 중시되었고, 그에 따라 많은 시간이 걸리고 실제적 발전과는 거리가 있는 논리는 자연스럽게 교육의 중심에서 배제되었다. 이러한 것이 논술 제도와는 거리를 두게 만들었던 요인들이다. 그 이후, 우후죽순으로 대학들이 생겨나면서 대학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학생들을 뽑기 위해 현재의 논술과 유사한 형태의 시험을 제시한다. 이것이 바로 본고사이다. 1960년도부터 1980년대까지 존재하던 본고사의 특징은 대학에서 제시하는 특정 교과에 대한 지식에 대해 고정적인 해답을 제시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이러한 유사 논술 교육의 초점은 글쓰기를 ‘위한’ 것이었다고 규정할 수 있다. 글이나 자료를 통해 얻은 고정적 지식을 어떻게 풀어내야할 것인지를 연습해야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본고사는 교과과정 이외의 내용과 수준의 지식을 요구했고, 그에 따라 사교육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는 결국 사회 불평등을 심각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앞서 얘기한 시대적 배경에서 교과서 암기 위주의 교육을 하던 다수의 학생들에게 이러한 논술 형태의 본고사는 ‘꿈’ 같은 것이었다.


본문내용
변천을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수행하게 될 연구가 이러한 논술 제도를 위한 논술 교육의 시행이 어떤 식으로 사회에 영향을 끼쳤는지 알기 위함이다. 논술 교육 역시 교육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국가적 교육의 가치관이나 시대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았을 것이 분명하며, 제도의 변천사를 훑어봄으로써 어떤 시대적 배경에 따라 교육의 외적인 면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바뀌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외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논술 고사가 내포하고 있는 비밀이 결국은 교육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의 유지 및 재생산이라는 점을 증명하고자 한다.
1) 과거의 논술 제도
해방 이후 우리의 교육 체계에는 현재 우리가 논술이라고 칭하는 제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시대상황적으로, 해방 이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