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2일 수요일

가드너의 이론(다중지능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 서술

가드너의 이론(다중지능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 서술
가드너의 이론(다중지능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 서술.hwp


목차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 다중지능의 개념, 다중지능이론의 특징
2) 다중지능의 유형

2.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
1) 교수-학습 활동
2) 수업계획 작성
3) 평가 방법

◆ 참고자료 ◆

본문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 다중지능의 개념, 다중지능이론의 특징

(1) 다중지능의 개념

다중지능은 Gardner(1983)에 의해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언어 능력과 논리수학 능력에 국한하여 일차원적인 관점에서 파악한 기존의 지능검사의 한계성을 지적하면서, 보다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지능을 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Gardner(1983)의 지능 개념은 지금까지 지능이라기보다는 재능으로 여겨왔던 음악, 신체운동적, 공간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지능인 대인 관계 능력과 개인 이해 능력을 포함시킨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MI)을 뜻한다. 다중지능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언어 능력과 논리수학 능력에 국한하여 일차원적인 관점에서 파악한 기존의 지능 개념을 넘어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지능을 지향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기존의 지능 개념에서 벗어나 음악, 신체, 공간, 대인 관계, 개인 이해 등 인간의 다양한 능력과 재능을 측정해야 함을 강조하는 개념이며, 인간의 지능을 언어적 영역, 논리수학적 영역, 시각공간적 영역, 신체운동적 영역, 대인간 영역, 개인 내 영역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는 이론이다. Gardner(1983)는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들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지능을 재능이라 불러도 문제가 없다고 하였고, 소위 지능이라고 일컫는 인간의 능력(competence)은 재능(talents), 능력(abilities), 정신 능력(mental abilities)을 포함한다고 하였다(김애란, 2008).

본문내용
dner(1983)에 의해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언어 능력과 논리수학 능력에 국한하여 일차원적인 관점에서 파악한 기존의 지능검사의 한계성을 지적하면서, 보다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지능을 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Gardner(1983)의 지능 개념은 지금까지 지능이라기보다는 재능으로 여겨왔던 음악, 신체운동적, 공간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지능인 대인 관계 능력과 개인 이해 능력을 포함시킨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MI)을 뜻한다. 다중지능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언어 능력과 논리수학 능력에 국한하여 일차원적인 관점에서 파악한 기존의 지능 개념을 넘어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지능을 지향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기존의 지능 개념에서 벗어나 음악, 신체, 공간,

참고문헌
박효정(2006)「다중지능이론과 교육」양서원
김명희 역(1998)「다중지능 : 이론과 실제」양서원
박효정(1999)「다중지능이론과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한국교육 26(1)
전미희(2010)「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과학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윤소정(2009)「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실과 바느질 단원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애란(2008)「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초등 영어 통합 학습의 효과」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주영(2002)「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과학수업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하고 싶은 말
가드너의 이론(다중지능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 서술하였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