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6일 일요일

교육과정의 개념화 교육과정의 개발수준

교육과정의 개념화 교육과정의 개발수준
교육과정의 개념화 교육과정의 개발수준.pptx


목차
1.교육과정 개발(curriculum development)

2.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3.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BCD)

4.교육과정 개발의 세부 사항

5.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6.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7.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과 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8.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

9.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본문
1.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요구사정의 결과와 이론적. 현실적 배경을 토대로
교육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세우는 활동

-교육과정의 개발 순서
1. 국가수준에서 개발
2.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이 개발
3. 학교수준, 학년수준, 교과수준 의 교육과정을 개발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BCD)

-70~80년대 이후 학교현장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책임 증가
-학교 교육과정 =중앙정부에서 결정된 교육과정+ 지역의 교육방침
=>의사결정에 교사들의 참여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3) 교육과정 개발의 세부 사항 -1

국가나 지역수준에서 공식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목표를 설정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
이를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시
평가를 위한 지침을 마련
학교에서 활용하기 위한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및 평가 등에 관한 원리들을 마련


3) 교육과정 개발의 세부 사항 -2

-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공학

-교육과정 설계: 성취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와 내용에 대한 계획

-교육과정 공학: 설계한 교육과정이 수행되는 데 필요한 모든 과정

뷰참(Beauchamp,1981)


1)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전체적인 수준에서의 학교교육과정:
국가나 지역과 같은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교육관계자들에 의해 개발

*최근에는 최종적인 실천자인 교사들과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
=>다양한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

2)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과 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2-1)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을 제정 또는 개정하고, 통제. 관리하는 권한이 중앙정부에 속해 있는 개발 방법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 개발 국가:
우리나라, 일본, 프랑스 등



2)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과 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2-1)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

-장점:
국가적 수준의 체계적, 전문적이고도 질 높은 교육과정 개발가능
일관된 국가의 노력에 따라 교육목표의 실현이 용이
학교 교육의 질 관리
통일된 학교교육의 평가기준을 제시 =>전국의 학교 수준을 균등하게 유지가능
지방교육청과 학교 및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업무에 대한 부담경감


본문내용
evelopment: SBCD)
교육과정 개발의 세부 사항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과 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개발
지방분권형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요구사정의 결과와 이론적. 현실적 배경을 토대로
교육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세우는 활동
-교육과정의 개발 순서
1. 국가수준에서 개발
2.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이 개발
3. 학교수준, 학년수준, 교과수준 의 교육과정을 개발

1. 교육과정 개발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BCD)
-70~80년대 이후 학교현장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책임 증가
-학교 교육과정 =중앙정부에서 결정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