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학생인권조례란? 2.학생인권조례의 주요 쟁점 3.학생인권조례와 교육심리 이론 연결 4.제6조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5.제 9조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교육활동의 자유 6.제12조 개성을 실현할 권리 7.결론
본문 학생인권조례란? -> 학생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대한민국 각 교육청들의 조례이다.
찬성
학교의 주인은 학생 시민의식 확보 학생의 인권 존중 필요
반대
교권 실추 많은 자율성 부과
학생인권조례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가져야 할 가치관과 개선 방향 제시
① 학생은 체벌, 따돌림, 집단 괴롭힘, 성폭력 등 모든 물리적 및 언어적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를 가진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유교적 사상으로 아이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벌을 이용
체벌이 금지됨에 따라 교권 침해가 증가 ->국정감사 조사 결과 (최근3년간 17배 가량 증가)
→행동주의 학습이론 적용 분석
행동주의 -> 관찰할 수 있는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탐구 -> 학생의 행동을 다루기 위해 쓰이는 도구로 사용
행동주의 기본가정 -> 모든 행동은 학습을 통해 변화 -> 학습은 경험이나 연습을 통해 행동이 변화되는 과정 -> 학습자는 학습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 -> 학습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합을 형성하는 과정
조작적 조건화 -> 행동한 뒤에 주어지는 결과에 따라 관찰 가능한 행동의 빈도와 강도가 변화되는 학습의 한 형태
수여성 처벌 혐오자극을 제시하여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수여성 처벌은 자극의 성질에 따라 체벌과 상징적 처벌로 구분
체벌사용의 문제점 - 분노,불안,공포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정서적 부작용과 회피반응을 유발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나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정보는 제공X -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행위를 정당화 - 처벌하는 사람이 바람직하지 못한 모델이 될 개연성
체벌의 대안 - 정지명령 : 감정을 싣지 않고 교사가 손가락을 입에 대고 “ 쉿 ”이라고 말하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 타임아웃 : 학생을 교실 밖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또래학생에게서 격리시키는 것 - 반응의 대가 : 주고 있던 강화물을 더 이상 주지 않는 것```````````````````(Ex 토큰제) - 학교에 남기기 : 방과후 선생님과 면담(고학년에 사용)
본문내용 권조례란? 제 9조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교육활동의 자유 제12조 개성을 실현할 권리 결론 PAGE:3 학생인권조례란? -> 학생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대한민국 각 교육청들의 조례이다. 찬성 학교의 주인은 학생 시민의식 확보 학생의 인권 존중 필요 반대 교권 실추 많은 자율성 부과 학생인권조례란? PAGE:4 Vs 교권 추락 학생 인권 학생인권조례 주요쟁점 학생인권조례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가져야 할 가치관과 개선 방향 제시 PAGE:5 학생인권조례와 교육심리 이론 연결 제 6조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제 9조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교육활동의 자유 제 12조 개성을 실현할 권리 행동주의 학습이론 적용 분석 가드너 다중지능이론 적용 분석 모델링이론 적용 분석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