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4일 금요일

교육의 학문적 성격(경험적 VS 정신적)

교육의 학문적 성격(경험적 VS 정신적)
교육의 학문적 성격(경험적 VS 정신적).ppt


목차

Ⅰ. 경험적 교육과학 VS 정신과학적 교육학

Ⅱ. 과학적 관리론 VS 인간 관계론

Ⅲ. 청소년 특별법

Ⅳ. 시사점

※ Q & A


본문
경험적 과학 교육
◆ 객관적인 것 중시
◆ 사실에 대한 법칙 진술 지향
◆ 실험과 관찰의 방법은 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됨
◆ 실증적이며 객관적, 귀납적 실험적

정신적 과학 교육
◆ 인간은 역사적 존재
◆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교육현상을
삶과의 연관성에서 파악하는 것이 목적
◆ "개별적 인간으로서의 아동"
◆ 문화적 전통의 연관성에 대한 의미해석

생산 ․ 능률향상이 궁극적 목적
조직목표와 개인목표의 양립 ․ 조화가능성 인정
인간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봄
인간행동의 피동성 및 동기부여의 외재성 중시 (인간 스스로의 내적인 동기부여를 경시)

형사미성년자제도: 14세 미만은 책임 능력이 없어
형벌 법규에 적용 받지 않는 자로 구분

소년법: 범죄마다 처벌 등에 특별규정을 두어
성인범과 다르게 청소년 범죄의 경감


미성년자를 책임 능력이 없는 사람으로 간주하여 처벌 등에 대한 특별 규정으로 경감
형벌에 의한 처벌이 아닌 보호처분 & 훈계를 통한 교육적 목적을 강조
공식적인 통계자료가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의 범죄현황을 보여줌
갱생의 기회를 악용, 범죄 결과에 대한 책임의식 미비
학벌주의에 따른 성교육, 인성교육의 감소

정신과학적 교육학의 불가능한 영역에 대한 진술은
모호하며, 과학정신을 벗어남

과학적이지 못한 영역은
교육철학과 실천 교육학으로 넘겨야 함

부분적 사실을 다루는 경험적 교육과학의
연구결과 과소 평가

경험적 연구의 몰가치성을 무시

절충적 관계가 아닌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생동적인 발전

(경험적)실제적인 문제 해결
+불가능한 검증 부분 파악(정신적)


본문내용
별법
Ⅳ. 시사점
※ Q & A
Copyright 2012 Team 12
PAGE:3
Ⅰ. 경험적 교육과학 VS 정신과학적 교육학
Copyright 2012 Team 12
PAGE:4
Ⅰ. 경험적 교육과학 VS 정신과학적 교육학
◆ 인간은 역사적 존재
◆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교육현상을
삶과의 연관성에서 파악하는 것이 목적
◆ "개별적 인간으로서의 아동"
◆ 문화적 전통의 연관성에 대한 의미해석
◆ 객관적인 것 중시
◆ 사실에 대한 법칙 진술 지향
◆ 실험과 관찰의 방법은 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됨
◆ 실증적이며 객관적, 귀납적 실험적
정신적 과학 교육
경험적 과학 교육
Copyright 2012 Team 12
PAGE:5
Ⅱ. 과학적 관리론 VS 인간 관계론
Copyright 2012 Team 1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