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인적자원관리- 메리츠화재와 우리투자증권의 근로기준법비교
메리츠화재 우리투자증권 근로기준법비교.hwp |
|
목차 선정배경
1. 인사와 승진 -희망퇴직, 임금피크제
2. 복지 -미관련 복리후생 -퇴직금 및 상여금 -휴가
3.남녀평등 & 모성보호
4.쟁의,노사협의 5. 조합 활동
본문 문제점: 타 증권사들 보다 짧은 정년을 보장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의 경우는 만58세, 푸르덴셜 증권 만58세의 정년을 보장하고 있는 반면 메리츠 증권은 55세은 짧은 정년을 보장하고 있다.
‣ 개선방안: 단순히 정년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임금피크제의 방식으로 정년 보장을 요구한다. 여기서, 임금 피크제란 일정 연령 이후 업무 능력이 떨어지는 장기근속직원에게 임금을 줄여서라도 고용을 유지하는 능력급제의 일종. 일정 근속년수가 되어 임금이 피크에 다다른 뒤에는 다시 일정 퍼센트씩 감소하도록 임금체계를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임금피크제의 유형으로는 정년보장형, 정년연장형, 고용연장형이 있다. 이러한 것은 50대 이상 계층의 실업을 어느 정도 완화 할 수 있고, 기업 측에서도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정년보장형: 현재의 정년을 보장하되 정년 이전 일정시점부터 임금을 조정. -정년연장형: 현재의 정년을 연장하는 조건으로 정년이 전부터 임금을 조정. -고용연장형: 정년퇴직자를 계약직으로 재고용하되 정년이전부터 임금을 조정.
본문내용 투자 6절 34조 메리츠 3절 36조 (정년과 임금피크제) / 우리투자 9절 81조~88조, 메리츠 9절 94조~98조 (퇴직금) 2. 복지(미관련 복리후생, 퇴직금 및 상여금, 휴가 ) - 실질적 복지 관하여, 세세한 혜택 부족(이는 직원들의 사기와 직접적 연관됨) / 우리투자 8절 63조64조67조68조79조80조88조, 메리츠 없음(세세한 복지혜택들) / 우리투자 75조, 메리츠 87조(재해부조금) / 우리투자 4절 50조, 메리츠 4절 71조(시간외근로) / 우리투자 5절 54조, 메리츠 없음 (업무상 사망 외 장례비) / 우리투자 47조, 메리츠 69조 (체련단련 휴가) 3. 남녀 평등, 모성보호 / 우리투자메리츠 (생리휴가), / 우리투자 42조, 메리츠 49조(유산휴가) / 우리투자 7
참고문헌 각 회사 노동조합 사이트
하고 싶은 말 메리츠화재와 우리투자증권을 노동기준법을 바탕으로 비교하였습니다.
인사와 승진, 복지, 남녀 평등&모성보호, 쟁의,노사협의, 조합활동의 카테고리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각 파트별 해결책 제시와 현실적 방안이 기술되어있습니다. 인적자원관리론의 과제에 활용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