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성교제? 2.과거의 이성교제 3.현재의 이성교제 4.이성교제의 장단점
본문 1.이성교제?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우정 또는 애정을 가지고 이성을 사귀는 일
이성과의 사귐을 통해 동성이 갖고 있지 않은 사고와 관심 등을 이해하고 나누면서 자신의 인격 성장에 도움을 주고받는 일을 말한다. 성장 급등과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에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을 꿈꾸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2. 과거의 이성교제
고3 3명 중 1명은 이성교제
우리나라 고3학생 3명중 1명은 이성교제를 하고 있다. 이는 사랑의 전화가 최근 청소년들의 욕구와 의식 생활 등을 서울시내 남녀중고생 766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이성교제, 고민, 용돈, 건강, 부모와의 관계 등 9개 항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나타난 것이다.
이성친구는 전체의 19.7%가 사귀고 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이성교제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데이트 빈도는 필요할 때가 51.2%로 가장 많고 27.3%는 주 1회, 매일 만난다는 학생도 8.4%나 된다. 이성친구에 대한 부모의 생각은 68%가 괜찮을 것이다, 권장 2.2%, 무조건 반대가 27.2%로 중고생들은 부모가 이성교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3. 현재의 이성교제 ‘학업에 지장이 없는 수준에서 가능하다’(35%)와 ‘이성 교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28%)를 합하면 교사의 63%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성교제가 학업 수행에 방해가 된다면 자제해야 한다’(24%)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지만, ‘교내 이성 교제는 교칙을 통해 제재해야 한다’(12%)라고 답한 교사는 많지 않았다. 학생들은 훨씬 더 적극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이성교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51%)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겼고, ‘학업에 지장이 없는 수준에서 이성 교제는 가능하다’(35%)라고 밝힌 학생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실제 이성 교제를 한 적이 있는 학생은 18%였고, 현재 교제를 하고 있는 학생도 9%였다. 이성 교제를 경험했거나 현재 하고 있는 학생들은 교제 대상자로 동급생을 가장 많이 꼽았다.
장점 청소년기의 이성교제는 이성을 존중할 줄 아는 자질을 키우고, 상대 성(性)의 역할을 이해하며, 사랑의 본질과 기쁨을 알게 됨으로써 이성에 대한 혐오감이나 공포심을 덜어주고, 남녀가 서로 어울려 지내는 예절을 배우는 기회가 된다. 또한 장래 배우자 선택이나 결혼생활에 대한 유익한 자질을 갖출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단점 반면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되고, 이성에 대한 생각으로 정신이 집중되지 않아 학업에 지장을 주며, 성적 충동을 일으키기 쉬워 건전하고 순수한 관계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본문내용 사귀는 일 이성과의 사귐을 통해 동성이 갖고 있지 않은 사고와 관심 등을 이해하고 나누면서 자신의 인격 성장에 도움을 주고받는 일을 말한다. 성장 급등과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에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을 꿈꾸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2. 과거의 이성교제 1985.04.27 매일경제
2. 과거의 이성교제 고3 3명 중 1명은 이성교제 우리나라 고3학생 3명중 1명은 이성교제를 하고 있다. 이는 사랑의 전화가 최근 청소년들의 욕구와 의식 생활 등을 서울시내 남녀중고생 766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이성교제, 고민, 용돈, 건강, 부모와의 관계 등 9개 항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나타난 것이다. 이성친구는 전체의 19.7%가 사귀고 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이성교제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데이트 빈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