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1일 화요일

한 지역을 선택하고 그 지역에서 실행되고 있는 평생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그 사례가 지역사회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한 지역을 선택하고 그 지역에서 실행되고 있는 평생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그 사례가 지역사회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평생교육론.hwp


목차
1. 서론
2. 본론
1) 지역의 특성
2) 프로그램 개관
3) 운영 결과
3. 결론

본문
1. 서론
현대 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부를 정도로 국가나 개개인의 경쟁력이 지식에 의해 좌우된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새롭게 생겨나는 지식과 이를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은 현대인의 필수 능력이 되었다. 기존의 학교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인의 학습과 능력 개발을 위한 평생학습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추진 체제를 보면 국가수준에서는 평생교육진흥위원회와 평생교육진흥원이 있고 시ㆍ도 단위에서는 시ㆍ도 평생교육협의회와 시ㆍ도 평생교육진흥원이 설치되며 지역 평생교육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시ㆍ군ㆍ구에서는 실질적인 지역민들에게 평생학습에 대한 정보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ㆍ군ㆍ구 평생교육협의회와 시ㆍ군ㆍ구 지역 평생학습관의 체제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평생학습이 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은 사람들의 생활권과 학습권이 있는 지역사회이므로 평생학습의 활성화는 지역 평생학습관의 운영 실태와 가장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손병우, <지역 평생학습관에 관한 평생교육담당자의 인식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논문, 2008, p2.

그런 의미에서 평생학습의 양과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평생학습을 담당하는 지역 평생학습관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지역 평생학습관은 지역민들의 평생학습 요구를 만족시켜주고, 이를 통해 지역민들이 스스로의 능력을 키우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는 지역 및 국가적으로도 인적 자원의 발전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 평생교육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중 당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민의 욕구를 반영하고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을 도모한 우수한 프로그램 사례를 소개하여, 지역 평생교육 기관이 지역에 어떠한 긍정적 발전과 사회 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사례로 대전시의 대덕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자립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본문내용
대인의 필수 능력이 되었다. 기존의 학교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인의 학습과 능력 개발을 위한 평생학습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추진 체제를 보면 국가수준에서는 평생교육진흥위원회와 평생교육진흥원이 있고 시ㆍ도 단위에서는 시ㆍ도 평생교육협의회와 시ㆍ도 평생교육진흥원이 설치되며 지역 평생교육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시ㆍ군ㆍ구에서는 실질적인 지역민들에게 평생학습에 대한 정보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ㆍ군ㆍ구 평생교육협의회와 시ㆍ군ㆍ구 지역 평생학습관의 체제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평생학습이 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은 사람들의 생활권과 학습권이 있는 지역사회이므로 평생학습의 활성화는 지역 평생학습관의 운영 실태

참고문헌
도래샘, 『하루를 살아도 나는 사회복지사다』, 인간과 복지, 2010.
박종석, <소외계층을 위한 평생교육 사례-저소득층>, 대전평생교육포럼 3호, 대전평생교육진흥원, 2012, pp22~37.
손병우, <지역 평생학습관에 관한 평생교육담당자의 인식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논문, 2008.
“결혼이주여성들 ‘어엿한 직장 자긍심’”, 경향신문 2012.04.2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4092218095&code=950301

하고 싶은 말
평생교육사 이론 과목 중 평생교육론에서 제시된 리포트입니다.
A+를 받은 과제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