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K팝이 촉발한 新한류
 新한류 열풍 일지
 온라인상에서의 폭발적 반응
 K팝의 전략적 가치
 K팝의성공요인
 생산자: 기획사의 체계적 제작시스템
 캐스팅: 원석 발굴에 주력
 트레이닝: 장기적 투자로 최고의 엔터테이너 육성
 프로듀싱: 창작 작업의 글로벌 소싱
 글로벌 프로모션: 현지 파트너의 네트워크 활용
 전달방식: 소셜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 IT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 노륨안무ㆍ비주얼 3박자를 완비
 기업의K팝 활용전략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 창출
 집객형 상품으로 활용
 K팝 문화가 밀집된 클러스터를 형성해 관광자원화
 K팝가수와 컬래버레이션 추진으로 홍보효과 극대화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인재 양성 시 기본기 중시
 태생적 글로벌(Born Global) 지향
 국적은 다르지만 한국에서 한국 자본과 기술이 키운 스타(Made in Korea)
 
 
 본문
 K팝이 촉발한 新한류
 최근드라마에이어新한류의주역으로등장한K팝에전세계가열광
 - 2000년대 이후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 다수의 한국아이돌 그룹이 활발하게 진출하며 K팝 열풍이 시작
 ㆍ2001년 일본에 진출하여 대성공한 보아를 시작으로 해외 진출 가속화
 -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에도 K팝 팬층이 확대
 ㆍ2011년 8월 미국 빌보드에 K팝 차트가 신설되었고, 프랑스, 영국,스페인 등에서는 K팝 공연 티켓이 연이어 매진
 
 <중 략>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 자사의 상품 이미지에 맞는 K팝 가수를 광고 모델로 활용하여 한국제품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축소
 -10∼20대 팬층은 좋아하는 스타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방하고 싶은심리를 가지고 있어서 아이돌 가수의 광고 효과가 높음
 - 식음료, 화장품, 패션 등의 일반 소비재는 해당 지역에서 인기 있는스타를 기용해 현지 맞춤형 광고를 제작
 ㆍ대상은 청정원 `마시는 홍초`의 일본 광고에 걸그룹 카라를 모델로발탁한 이후 2011년 하반기 매출 470억원(상반기 매출의 15배) 달성
 - IT 및 자동차 회사는 자사의 제품력과 기술력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K팝 스타를 활용
 
 기업은 K팝 팬층을 한국 제품의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
 - 기존의 한류 선호 지역인 일부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중동, 남미,유럽등 신흥 한류지역을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주목
 ㆍ최근 新한류의 영향으로 중동 지역의 수출액이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했고, 중남미 지역의 소비재 수출액도 49.9% 증가
 
 
 
 본문내용
 작시스템
 캐스팅: 원석 발굴에 주력
 트레이닝: 장기적 투자로 최고의 엔터테이너 육성
 프로듀싱: 창작 작업의 글로벌 소싱
 글로벌 프로모션: 현지 파트너의 네트워크 활용
 전달방식: 소셜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 IT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 노륨안무ㆍ비주얼 3박자를 완비
 기업의K팝 활용전략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 창출
 집객형 상품으로 활용
 K팝 문화가 밀집된 클러스터를 형성해 관광자원화
 K팝가수와 컬래버레이션 추진으로 홍보효과 극대화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인재 양성 시 기본기 중시
 태생적 글로벌(Born Global) 지향
 국적은 다르지만 한국에서 한국 자본과 기술이 키운 스타(Made in Korea)
 
 K팝이 촉발한 新한류
 최근드라마에이어新한류의주역으로등장한K팝에전세계가열광
 - 20
 
 참고문헌
 K팝 컬처의 심리
 김헌식 저 | 북코리아 발행
 
 K팝 한류신화 만든 이수만의 야심
 최승현 저 | 조선뉴스프레스 발행
 
 SM엔터테인먼트 과대평가됐나 : K팝 미래 밝아 vs 이익 대비 비싸
 명순영 저 | 每日經濟新聞社 발행
 
 K-POP, 신한류를 이야기하는가 : 한국문화를 글로벌류로 견인하라
 조혜정 저 | 한국방송작가협회 발행
 
 한류 마케팅 중소기업에 큰 기회
 이정희 저 | 每日經濟新聞社 발행
 | 
댓글 없음:
댓글 쓰기